정양모 (미술사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양모는 1934년 일제강점기 역사학자 정인보의 아들로 태어난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공군 장교로 복무한 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관, 국립경주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하며 한국 미술 발전에 기여했다. 1970년대부터 한국 미술을 해외에 알리는 전시에 참여했으며, 1998년에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한국실 설치를 총감독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한국미술 5000년 전', '한국고대문화전' 등의 전시 감독, 그리고 저서 《한국의 도자기》 등이 있으며,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 - 김홍남
김홍남은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이자 박물관 관장으로, 서울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스미스소니언 협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등에서 활동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국립민속박물관 관장,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 - 최순우
최순우는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미술사학자, 박물관 관장, 수필가로 활동하며 한국 미술 연구와 보존에 기여하고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등의 수필로 한국의 미를 알리는 데 힘썼다. - 상지대학교 교수 - 김정란
김정란은 1953년생으로,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평론가, 시인, 번역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했고, 문학의 상업주의와 언론과의 유착 관계를 비판하며 사회적 발언과 저술 활동을 해왔다. - 상지대학교 교수 - 서영은 (소설가)
서영은은 1969년 등단하여 자아 갈등을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리얼리즘 소설가로 평가받으며, 이상문학상과 연암문학상을 수상했고 소설가 김동리와 결혼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서울경복중학교 동문 - 맹형규
맹형규는 1946년 서울 출생으로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언론인, 국회의원,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했다. - 서울경복중학교 동문 - 김동진 (1938년)
김동진은 대한민국 육군 대장 출신으로 제33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베트남 전쟁 참전, 육군참모총장과 합동참모의장 역임,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등의 경력을 거쳐 한국군 현대화에 기여하고 한경대학교 초빙교수와 자유민주연합 특임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정양모 (미술사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양모 |
한자 표기 | 鄭良謨 |
로마자 표기 | Jeong Yang-mo |
출생 | 1934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미술사학자 |
학력 | |
출신 학교 | 서울대학교 |
경력 | |
주요 경력 | 경주국립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청 |
2. 생애 및 가족 관계
정양모는 일제강점기의 역사학자이자 저술가인 정인보의 넷째 아들로 1934년에 태어났다.[1] 그는 조선 시대의 풍경화가 정선의 작품을 존경한다.[2]
정양모의 가족은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분단되었다. 아버지 정인보와 누나 정경완은 1950년에 북한으로 끌려갔다.[3] 다른 누나 정양완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국 문학을 연구하는 학자가 되었다.[4] 1964년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이중원(李仲瑗)을 만나 1967년에 결혼했으며, 두 아들과 딸을 낳았다.[1][6]
정양모는 도예가 민영기와 화가 전성우의 절친한 친구이다. 1998년 민영기와 전성우는 그를 위해 분청사기 스타일의 석기 사발을 함께 만들었고, 이 작품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7]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정양모는 일제강점기의 역사학자이자 저술가인 정인보의 넷째 아들로 1934년에 태어났다.[1] 그는 조선 시대의 풍경화가 정선의 작품을 존경한다.[2] 1958년 서울대학교에서 역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정양모의 가족은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분단되었다. 그의 아버지와 누나 정경완은 1950년에 북한으로 끌려갔다. 2004년에 그는 정경완이 살아있다는 소식을 들었다.[3] 그의 다른 누나 중 한 명인 정양완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국 문학을 연구하는 학자가 되었다.[4] 그는 1964년 도자기에 대한 논문을 준비하던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이중원(李仲瑗)을 만나 결혼했다.[5] 1967년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 유학 계획을 포기했고, 부부는 두 아들과 딸을 낳았다.[1][6]
2. 2. 가족의 분단과 만남
정양모의 가족은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분단되었다. 그의 아버지 정인보와 누나 정경완은 1950년에 북한으로 끌려갔다. 2004년에 그는 정경완이 살아있다는 소식을 들었다.[3] 그의 다른 누나 중 한 명인 정양완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국 문학을 연구하는 학자가 되었다.[4] 그는 1964년 도자기에 대한 논문을 준비하던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이중원(李仲瑗)을 만나 결혼했다.[5] 1967년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 유학 계획을 포기했고, 부부는 두 아들과 딸을 낳았다.[1][6]2. 3. 결혼과 가정
정양모는 1964년 도자기에 대한 논문을 준비하던 이화여자대학교 학생 이중원(李仲瑗)을 만나 결혼했다.[5] 1967년 이중원과 결혼하기 위해 유학 계획을 포기했으며, 슬하에 두 아들과 딸을 두었다.[1][6]3. 경력
정양모는 1946년 수송국교를 졸업하고 경복중학교에 입학했다. 1949년 경복중학교를 졸업하고 경복고등학교에 입학했으며, 1952년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에 입학했다. 1981년 9월부터 1982년 9월까지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이후 충북대학교, 상지대학교, 원광대학교, 상명대학교, 세종대학교에서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연도 | 내용 |
---|---|
1946년 | 수송국교 졸업, 경복중학교 입학 |
1949년 | 경복중학교 졸업, 경복고등학교 입학 |
1952년 | 경복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입학 |
1981년 9월 ~ 1982년 9월 |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객원교수 |
이후 | 충북대학교, 상지대학교, 원광대학교, 상명대학교, 세종대학교 석좌교수 |
3. 1. 군 복무
1953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휴학 후 공군 사병으로 입대하여 6.25 전쟁 막바지에 참전하였다.[19] 1955년 공군 상등병으로 전역하였다. 1958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학사 학위 취득 후, 같은 해 4월 공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958년 9월부터 1962년 9월까지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복무하였다. 1960년 6월 공군 중위로 진급, 1962년 8월 공군 대위로 진급하였으며, 1962년 9월 공군 대위로 전역하였다.[19]3. 2. 박물관 경력
정양모는 1962년 10월부터 1973년 11월까지 국립중앙박물관 미술과에서 학예관보 및 학예관으로 근무했다.[8][9] 그는 초창기에 대부분의 기간 동안 당시 한국의 대표적인 도자기 전문가였던 崔淳雨|최순우한국어의 지도를 받았다.[10] 1963년 박물관 미술부 조교로 재직하며 최순우의 지휘 하에 양주에서 현장 조사를 벌여 도봉산 인근 마을에서 고려 말기의 가마를 발견했다.[11]1973년 11월부터 1975년 9월까지 국립경주박물관 관장을 역임했으며, 1975년 10월부터 1979년 3월까지는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 수석학예연구관을, 1979년 4월부터 1984년 4월까지는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했다. 1984년 4월부터 1986년 4월까지 다시 국립경주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이후 1986년 5월부터 1993년 2월까지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하였고, 1993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했다.[12][13][19]
3. 3. 기타 경력
정양모는 1962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경력을 시작했다.[8][9] 초창기에는 최순우의 지도를 받았다.[10] 1963년 박물관 미술부 조교로 재직하며 최순우의 지휘 하에 양주에서 현장 조사를 벌여 도봉산 인근 마을에서 고려 말기의 가마를 발견했다.[11]1984년부터 1986년까지 국립경주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이후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이 되어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재직했다.[12][13] 2003년 5월에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의 새로운 위원으로 임명되었으며,[14] 2005년까지 그 직을 수행했으며, 후임은 서울대학교 교수 안휘준이었다.[15]
4. 주요 업적 및 전시
- 1975년부터 1976년까지 '한국미술 5000년 전' 일본 전시를 준비하고 일본 후쿠오카 문화회관, 도쿄 국립박물관 준비를 감독, 관리하였다.
- 1978년부터 1980년까지 '한국미술 5000년 전' 미국 전시를 준비하고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클리블랜드 미술관, 보스턴 미술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전시를 감독하였다.
- 1982년부터 1984년까지 '한국고대문화전' 영국 런던 (대영 박물관), 독일 (뮌헨공예박물관) 전시를 준비, 감독 및 관리하였다.
- 1990년부터 1993년까지 '18세기전' 미국 워싱턴 스미소니언 협회[20] 및 아서 M. 새클러 갤러리 전시를 준비, 감독 및 관리하였다.
- 1998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한국실 설치 총감독을 맡았다.[18]
-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조선왕조의 미'전 대한민국추진위원회 회장을 맡았다. 전시는 홋카이도립 근대미술관, 홋카이도립 하코다테 미술관, 기후 현립미술관에서 진행되었다.
5. 포상
연도 | 내용 |
---|---|
1978년 | 우수공무원 녹조근정훈장 |
1991년 | 대통령 표창 |
2000년 | 우수 공무원 홍조근정훈장 |
2005년 | 은관문화훈장[16] |
2008년 | 제11회 자랑스런 박물관인상[21] |
2013년 | 동료 학자들이 팔순(한국식 나이)을 기념하여 헌정 논문집 출판[17] |
6. 저서
- 《너그러움과 해학》 (1981년)
- 《한국의 도자기》 (1991년)
- ''Arts of Korea'' (공저, 1998년)
7. 친분
정양모는 도예가 민영기와 화가 전성우와 절친한 친구이다.[7] 1998년 민영기와 전성우는 그를 위해 분청사기 스타일의 석기 사발을 함께 만들었으며, 이 작품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7]
참조
[1]
뉴스
後孫漢學者爲堂鄭寅普 선생
http://newslibrary.n[...]
1984-02-08
[2]
뉴스
가슴속 그림 한폭: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http://news.naver.co[...]
2006-01-31
[3]
뉴스
북 누나 생존 확인한 정양모 위원장
http://legacy.www.ha[...]
2004-02-12
[4]
뉴스
정양완교수 완역 정인보 '담원문록' 한글본 출간
http://www.jjan.kr/n[...]
2015-06-06
[5]
뉴스
정양모(국립중앙 박물관장)—이중원씨
http://newslibrary.n[...]
1996-05-25
[6]
뉴스
鄭良謨 중앙박물관장 부인
http://news.joins.co[...]
1995-05-10
[7]
웹사이트
Dish
https://searchcollec[...]
Asian Art Museum Chong-Moon Lee Center for Asian Art and Culture
2015-11-19
[8]
뉴스
'외관보다 內實다질 차례' 鄭良謨 새 국립중앙박물관장
http://newslibrary.n[...]
1993-03-26
[9]
뉴스
한국박물관 100년의 사람들: <4>정양모 前국립중앙박물관장
http://news.donga.co[...]
2009-04-02
[10]
뉴스
Crepuscle on Cultural Past: Chung Yang-mo, Chief Curator, National Museum of Korea
http://koreana.kf.or[...]
1991-09-01
[11]
뉴스
楊州에麗末의民間陶窯址
http://newslibrary.n[...]
1963-02-12
[12]
웹사이트
Mystery of the cup holder
http://www.nationmul[...]
China Daily
2015-11-18
[13]
뉴스
정양모 중앙박물관장 사표제출
http://news.naver.co[...]
1999-12-14
[14]
뉴스
문화재위원장 정양모 박사 '문화재는 새로 만들수 없죠'
http://news.naver.co[...]
2003-05-15
[15]
뉴스
문화재위원장에 서울대 안휘준 교수 선출
http://news.naver.co[...]
2005-05-06
[16]
뉴스
정양모 前관장 은관문화훈장 서훈
http://news.khan.co.[...]
2005-12-05
[17]
뉴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한국 깊이있게 알리려면 문화재 보여줘야'
http://news.kmib.co.[...]
2013-06-16
[18]
웹사이트
Art Review: A Jewel Box Of Korean Culture
https://www.nytimes.[...]
1998-06-12
[19]
뉴스인용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한국 깊이있게 알리려면 문화재 보여줘야”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6-01-07
[20]
문서
Smithsonian Institution
http://www.si.edu
[21]
뉴스인용
'자랑스런 박물관인상'에 정양모씨 등
https://news.naver.c[...]
2016-01-07
[22]
뉴스인용
‘국립중앙박물관의 산 역사’ 정양모, 붓글씨·그림으로 팔순잔치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2016-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